리 지 아 클 락
편집: 박찬경(작가, 미술평론) ![]() 리지아 클락, 공기와 돌(Air and Stone), 1966, 공기가 주입된 비닐 주머니와 돌 「리 지아는, 방금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게 한 밀봉한 투명한 플라스틱 주머니를 내 손에 쥐어주었다. 그녀는 주머니 위의 한 구석에 돌멩이 하나를 올려 놓았다. 그것은 조심스럽게 균형이 유지되었고, 주머니의 한 구석으로 약간 빠져들어갔다. 그리고 그것은 거의 떨어질듯 걸쳐진 채로, 손에 약간의 압력만 달리해도 마치 부표처럼 위로 떠올랐다. 주머니는 여전히 따듯했다. 나는 마치 아주 연약한 동물이 새끼 낳는 것을 서투르게 거드는 것처럼 느꼈다. 작은 돌맹이의 그 부드러운 '포르트/다(fort/da)'는 내 기억속에 오래 남아있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신체적이고도 초개인적인 기억, (리지아가 1966년에 이 작업을 포함한 일련의 작업을 '몸의 노스탤지어'라고 불렀듯이) 종(種)의 기억 등과 같은 사유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 리지아 클락과 헬리오 오이티시카(Helio Oiticica), 손의 대화(Dialogue of Hands), 1966, 신축성 있는 뫼비우스의 띠 「몸 에 대한 태도는, 넓게 보면 (남미의) 토착인디언 문화, 이식된 아프리카 문화와 서구문화와의 역사적 긴장에 없어서는 안될 요소를 이룬다. 안트로포파지아Antropofagia(카니발리즘) -혼합주의의 전개에 대해 브라질 지식인들이 주조한 이 은유-는 서로 다른 문화적가치의 충돌과 함께, 말 그대로의 '협동'에 의한 새로움의 창출을 제안한다. 이러한 생각의 울림은.... 오이티시카의 주장에서 확고해진다. 신체는 단순히 작품을 돕는 것이 아니다. "작업안의 몸과 몸 안의 작업 사이의 완전한 결합이 있거나 있어야만 한다."」 ![]() 리지아 클락, 만다라(Mandala), 1969, 허리와 발목에 신축성있는 띠를 연결하여 움직이는 사람들 「이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리지아 클락은 자신이 고안한 사물을 매개로 관객들이 신체적인 상호 소통에 참여하게 하였다. 이 작업 말고도 '나와 너/옷-몸-옷(The I and the You/Clothing-Body-Clothing)'(1967)이라는 퍼포먼스는 눈을 가린 남녀가 상대방의 옷에 만들어진 구멍을 손으로 더듬어 찾아나가도록 하여, 촉각적인 소통에 성(性)의 메타포를 결합시키기도 한다. '안트로포파지아'(1973)에서는 참여자들이 눈을 가린 채 둘러앉아서, 그 가운데 누워있는 사람의 주머니에 들어있는 과일을 찾아 먹는 행위를 하였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무줄, 의복, 과일 등은 관객을 참여자로 변화시키는 장치들일 뿐만 아니라, 오직 참여자와의 상상적, 실질적 사용 속에서만 의미를 얻게된다는 면에서 그 자체로는 무의미한 작품이다. 소위 '신체예술'이 볼거리에 치중하거나 작가의 심리표현에 치우쳐 있는 반면에, 리지아 클락은 관객의 몸이 작품인 동시에 주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녀는 이러한 행위를 "살아있는, 생물학적 건축"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반(反)시각적 신체 소통 공간의 재구성을, 후에 그녀는 정신적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 실험으로 발전시켰다. 」 **************************************************************** 1) 1950-70년대 주로 활동했던 브라질 작가로, 오이티시카와 함께 '신 구체주의자 선언Neo-concretist Manifesto'(1959)를 쓰고 신구체주의 운동을 폈다. 프랑스의 파리와 브라질의 리오 드 자네이로에서 주로 활동하였으며 초기에는 주로 몽드리앙(Mondrian)과 막스 빌(Max Bill)과 같은 작가의 기하학적 추상에 영향을 받았으나, 후에는 신체 지각체험의 다양한 변형을 통한 자아와 타자, 예술과 삶의 통합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남미 개념미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과 함께, 우리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비서구와 서구를 가로지르는 국제 아방가르드의 중요한 선례라는 점에서 간단한 글과 사진으로나마 여기 소개하게 되었다. 2) '사라져라/있다'라는 의미로 쟈크 라캉(Jacques Lacan)이 유아의 언어발달과 자아형성에 관해 설명할 때 근거로 쓰고 있는 아이들의 놀이. 3) '몸의 노스탤지어Nostalgia of the Body'(리지아클락) 중 이브-알래 브와Yve-Alain Bois가 쓴 서문 중에서 발췌, 출전은 [October69](MIT,1994) 4) 기 브렛Guy Brett의 '리지아 클락과 헬리오 오이티시카Lygia Clark and Helio Oiticica'에서 발췌, 출전은 [Latin American Artists of the Twentieth Century](The Museum of Modern Art, |
'창문-인터넷 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뇌 ‘바보’ 인가 (0) | 2011.02.10 |
---|---|
아이들이 말 안 듣는 까닭은 (0) | 2010.10.28 |
[스크랩] 공감과 소통으로 쓴 여성 미술이야기 (0) | 2008.05.16 |
[스크랩] 재미화가 이상남 그가 말하는 자신의 미래와 뉴욕 라이프 (0) | 2008.05.06 |
[스크랩] 신비의 블랙홀 (0) | 2008.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