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보기형태 연구

바라보기형태연구 1 - 윤종갑

종희수 2016. 3. 9. 09:39

바라보기형태연구 1 - “

요약본@20150427

 

 

우리는 걸어가는 길이나 건물의 실내동선 그리고 여행의 경로를 선으로 지각합니다. 그것은 물의 자연스런 흐름과 유사합니다. 간단한 선으로 그려진 전철노선 표는 그러한 사람들의 시공간에 대한인식을 잘 설명하여 주고 있습니다. 우리의 감각은 물길의 모습과 같이 어떤 시간동안의 공간연속을 아울러 흐름으로 지각함을 확인하게 합니다.

 

선의 흐름은 또한 시각 주의로 윤곽 되어 집니다. 그 좋은 예로, 우리는 여성들의 각선미나 남성들의 체형을 쭉 휘둘러봅니다. 그것은 우리의 시선의 보는 습관으로 시각의 직관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사실은 우리의 시선이 시각목표와 배경을 아울러 윤곽으로 지각함을 확인하게 합니다.

 

또 하나의 사실로 선은 종교적인 시각의 뿌리이기도 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거북의 등껍질을 태워 생기는 금을 보고 점을 쳤습니다. 거북 등껍질에 생긴 금의 무늬는 자연의 뜻으로 신의 실재였습니다. 당시의 사람들에게 선은 만물의 처음이고, 만 가지의 모습의 뿌리로 인식되었던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시각이 자연의 모습에서 전형의 무늬를 지각함을 확인 하게합니다.

 

우리는 선의 모습에서 흐름이나 윤곽 그리고 무늬를 지각합니다. 그것들은 이라 이름 된 이해들입니다. 우리가 본다는 것은 눈의 망막을 통해서 인데 망막은 색과 명암만을 구별합니다.* 결국 선 이란 빛의 차이로 지각된 바라보기의 하나의 사실입니다. 우리가 촉각으로 윤곽을 구별 할 수 있지만 그것 또한 감각에 기초하여 지시되고 명시된 모양인 것입니다. 따라서 선은 선의 모습의 지각으로 바라보기의 하나의 형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갓 태어난 유아는 명암만을 식별한다고 합니다. 유아는 엄마의 표정을 알아보고 학습을 합니다.* 엄마의 얼굴의 눈썹, , , 입과 그 주름들이 만들어내는 표정은 바로 명암이 변화된 다양한 그림이고 무늬인 것입니다. 그 다양한 상형의 모습에서 유아는 위험한 것인지 아닌지를 식별하고 판단합니다. 엄마와의 친밀한 상호교감은 반복되고 기억됩니다.

 

동양화가들은 일획의 선에서도 기운을 구하였습니다. 그것은 대상의 사실의 재현만이 아닌 자신의 심정을 구상의 모습에 기리어 표현한 것인데, 하나의 필선에도 시각의 직접적인 지각표현 너머의 기운까지 어울려 담아진다 생각 했던 것입니다. 그러한 선의 감상은 문향의 서예나 또는 바위틈에서 자라는 휘어진 소나무의 생명력에 깃들어 있음을 봅니다.

 

 

*형태의 탄생- 스기우라고헤이

*본다는 것 시각생리-박찬웅
*사랑을 위한 과학 -토머스 루이스 외